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! 기초수급자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총정리

by 알짜생활가이드 2025. 8. 3.
반응형

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6.51% 인상됩니다! 전 가구원 수에 따른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수급 기준 및 지원금액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확대 정보까지 꼼꼼히 담았습니다.


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내역

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자를 정하는 핵심 기준인 "기준 중위소득"이 2026년 역대 최대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
가구원 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
1인 2,392,013원 2,564,238원 ▲7.20%
2인 3,932,658원 4,199,292원 ▲6.78%
3인 5,025,353원 5,359,036원 ▲6.63%
4인 6,097,773원 6,494,738원 ▲6.51%
5인 7,108,192원 7,556,719원 ▲6.31%
6인 8,064,805원 8,555,952원 ▲6.09%

 

 

➡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 혜택 수급자 선정에 활용되며,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의 "수급 기준선"으로 작동합니다.


2026년 생계급여 수급 기준 (중위소득 32% 이하)

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액
1인 765,444원 820,556원 ▲55,112원
2인 1,258,451원 1,343,773원 ▲85,322원
3인 1,608,113원 1,714,892원 ▲106,779원
4인 1,951,287원 2,078,316원 ▲127,029원
5인 2,274,621원 2,418,150원 ▲143,529원
6인 2,580,738원 2,737,905원 ▲157,167원
 

생계급여란?
→ 기준 금액에서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만큼 현금으로 매달 지급
→ 2026년부터 청년층 추가 공제금 확대 (40만 원 → 60만 원, 29세 이하 → 34세 이하)


2026년 의료급여 수급 기준 (중위소득 40% 이하)

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액
1인 956,805원 1,025,695원 ▲68,890원
2인 1,573,063원 1,679,717원 ▲106,654원
3인 2,001,141원 2,143,614원 ▲142,473원
4인 2,439,109원 2,597,895원 ▲158,786원
5인 2,843,277원 3,022,688원 ▲179,411원
6인 3,225,922원 3,422,381원 ▲196,459원
 

지원 내용

  •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 외 전액 지원
  • 외래 진료비: 1종 1차 의원 1,000원, 3차 상급병원 2,000원
  • 연간 외래 365회 초과 시 30% 본인부담 (일반 수급자 기준)


2026년 주거급여 수급 기준 (중위소득 48% 이하)

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액
1인 1,148,166원 1,230,834원 ▲82,668원
2인 1,887,676원 2,015,660원 ▲127,984원
3인 2,412,169원 2,572,337원 ▲160,168원
4인 2,926,931원 3,117,474원 ▲190,543원
5인 3,411,932원 3,627,225원 ▲215,293원
6인 3,871,106원 4,106,857원 ▲235,751원
 

🏠 지원 항목

  • 임차급여: 지역별·가구원 수별 기준임대료 상한 내 전월세 지원
  • 자가가구: 주택 노후도 따라 최대 1,601만 원 수선비 지원


2026년 교육급여 수급 기준 (중위소득 50% 이하)

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액
1인 1,196,007원 1,282,119원 ▲86,112원
2인 1,966,329원 2,099,646원 ▲133,317원
3인 2,512,677원 2,679,518원 ▲166,841원
4인 3,048,887원 3,247,369원 ▲198,482원
5인 3,554,096원 3,778,360원 ▲224,264원
6인 4,032,403원 4,277,976원 ▲245,573원
 

📘 지원 내용

  • 초등학생: 502,000원
  • 중학생: 699,000원
  • 고등학생: 860,000원 + 입학금 + 수업료 + 교과서비 실비 전액

기초생활보장 급여 자료 다운로드

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6.51프로 역대 최대로 인상.pdf
0.71MB

 

2026년 기준 중위소득 & 기초생활보장 관련 자주 묻는 질문(FAQ)


Q1.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?

A.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값으로, 복지급여 수급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. 매년 정부가 고시하며,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의 수급자 선정에 쓰입니다.


Q2. 소득인정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
A.소득인정액 = 실제소득 + (재산 – 기본재산 – 부채) × 환산율

  • 재산환산율: 일반재산 4.17%, 주거재산 1.04%
  • 공제 항목: 근로소득 공제, 장애아동수당, 만성질환 의료비 등

Q3. 생계급여는 누구에게 얼마나 지급되나요?

A. 기준 중위소득의 32%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며, 해당 기준 금액에서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을 현금으로 매달 지급합니다. 예: 4인 가구 기준 최대 207만 8,316원까지 수령 가능


Q4. 의료급여에서 병원비는 얼마나 지원되나요?

A.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나머지 전액 지원되며, 외래 기준으로 1종은 1,0002,000원 정액 부담, 2종은 1015% 비율 부담입니다. 연 365회 초과 외래 진료 시 30% 부담 적용됩니다.


Q5. 주거급여는 월세만 지원되나요? 자가인 경우는요?

A. 임차가구는 지역 및 가구원 수에 따라 최대 임대료 상한액까지 지원되며, 자가 가구의 경우 주택 노후도에 따라 3년7년 주기로 수선비(경보수대보수 최대 1,601만 원)를 지원받습니다.


Q6. 교육급여는 어느 정도 지원되나요?

A.초등학생: 연 502,000원

중학생: 연 699,000원

고등학생: 연 860,000원 + 입학금 + 수업료 + 교과서 전액 실비 지원


Q7. 생계급여 신청 시 부양의무자 조건이 있나요?

A. 원칙적으로 2021년 10월부터 폐지되었지만, 부양의무자의 연소득이 1억 3천만 원 초과 또는 재산이 12억 원 초과인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적용되어 수급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
Q8. 의료급여는 왜 부양의무자 조건이 있나요?

A. 의료급여는 생계급여와 달리 부양의무자 조건이 유지됩니다. 단, 부양의무자의 소득·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부양능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
Q9. 청년도 생계급여 받을 수 있나요?

A. 네, 가능합니다. 특히 2026년부터는 만 34세 이하 청년에 대해 근로소득 추가공제 60만 원이 적용되기 때문에 수급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.


Q10.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면 생계급여 대상에서 제외되나요?

A. 원칙적으로 자동차는 100% 소득환산되나, 10년 이상 또는 차량가액 500만 원 미만, 다자녀 가구 또는 소형 화물·승합차일 경우 4.17% 일반재산 환산율로 완화 적용됩니다.


Q11.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도 다른 정부지원 사업 받을 수 있나요?

A. 네. 기준 중위소득은 80여 개의 복지사업(국민취업지원제도, 국가장학금, 아이돌봄 서비스 등)에 활용되므로 중복수급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.


Q12.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
A.
① 주민센터에서 상담 및 신청 →
② 소득·재산 조사(시·군·구청) →
③ 수급자 결정 및 급여 지급

평균 2~4주 소요됩니다.

인기글 더보기

 

실업급여 장기수급자 조건 정리 (+ 2차 3차 4차 5차 8차 까지)

실업급여 장기수급자 조건과 1차부터 8차까지 실업인정 회차별 준비사항을 정리했습니다. 회차별 구직활동 요건부터 주의사항까지, 실수 없이 수급받는 방법을 확인하세요.1. 실업급여 장기수

guide.yidstory.com

 

 

가족간 계좌 이체 현금 거래 한도 (+차용증 양식 다운로드)

"가족간 계좌이체, 차용증, 증여 한도까지 2025년 국세청 기준 정리! 계좌이체 한도와 면세 기준, 이자율, 차용증 양식까지 모두 확인하세요."1. 가족간 계좌이체, 왜 문제인가?2025년 국세청은 AI 기

guide.yidstory.com

 

 

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총정리 (+전국 소비쿠폰 사용 가능 주유소)

2025 민생회복 지원금 어디서 쓸 수 있을까? 전국 소비쿠폰 사용 가능 주유소, 하나로마트, 올리브영 등 상세 사용처와 지역 변경 방법까지 총정리! 실사용자 후기로 본 우회 팁도 수록.1. 민생회

guide.yidstory.com

 

 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(+아파트 관리비, 자동이체까지! )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방법부터 사용처, 자동이체 설정, 체크카드 등록까지 한눈에! 전기·가스요금, 4대 보험료 감면으로 최대 50만원 혜택받는 법을 지금 확인하세요.1. 소상공인 부담

guide.yidstory.com

 

반응형